오차의 부호에 영향을 받음 -> 해결책 : 오차를 제곱
data의 크기가 클수록 SS도 커진다. -> 해결책 : 관측값들의 개수 N으로 나누기
단위가 제곱이라는 문제점이 발생 -> 해결책 : 제곱근을 사용
표준편차가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은 자료점들이 평균에 가깝다는 의미
표준편차가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은 자료점들이 평균에 멀다는 의미
표준오차 : 표본평균들의 표준편차
주어진 표본이 모집단을 얼마나 잘 대표하는지 나타내는 측도
값이 클 경우 : 표본이 모집단을 잘 대표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.
값이 작을 경우 : 표본이 모집단을 정확하게 반영할 가능성이 크다.
Ex. 신뢰구간 95% 구간
신뢰구간의 하계 = \(\bar{X} - (1.96 * SE)\)
신뢰구간의 상계 = \(\bar{X} + (1.96 * SE)\)
신뢰구간의 하계 = \(\bar{X} - (t_{n-1} * SE)\)
신뢰구간의 상계 = \(\bar{X} + (t_{n-1} * SE)\)
\[검증 통계량 = \frac{모형이 설명하는 변동}{모형이 설명하지 못하는 변동} = \frac{효과}{오차}\]
피셔의 기준으로 모집단에 효과가 존재하지 않을 때 이 오류가 생갈 확률은 5% = \(\alpha-수준\)
코언은 제2종 오류의 허용 가능한 최대 확룰로 20%를 제안 = \(\beta-수준\)
Discovering Statistics Using R - 010 [ 2024년12월25일 ]
Discovering Statistics Using R - 009 [ 2024년12월12일 ]
Discovering Statistics Using R - 008 [ 2024년12월10일 ]
Discovering Statistics Using R - 007 [ 2024년12월06일 ]
Discovering Statistics Using R - 006 [ 2024년12월05일 ]
Discovering Statistics Using R - 005 [ 2024년12월04일 ]
Discovering Statistics Using R - 004 [ 2024년12월03일 ]
Discovering Statistics Using R - 003 [ 2024년11월30일 ]